소설자료
사대신수(四大神獸)_백호
작성자 : 오소리
작성일 : 2022-05-20
조회수: 516
추천수 : 0
|
|
||||
백호 역시 전신(戰神), 살벌의 신(殺伐之神)로서 상고시대 성숙(星宿) 숭배에서 비롯됐다. 백호는 액을 막아주고, 권선징악을 하며, 부를 쌓게 해주고, 좋은 인연을 맺는 등 다양한 신력을 지녔다. 그는 사령(四靈) 중의 하나이며, 성숙(星宿)의 변환을 통해 생겨났다. 백호는 28성숙 중 서양의 칠숙(七宿)인 규(奎), 루(婁), 위(胃), 묘(昴), 필(畢), 자(觜), 참(參)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서양을 대표하는 것이고, 서양이 오행에서 금에 속하고 색은 백에 속하기 때문에 흰색은 오행에서 유래된 것이다.
도교의 사령에는 청룡백호 외에도 풍수사가 묘소를 탐측할 때 지형의 앞, 좌우가 돌출되고, 묘혈로 쓸 수 있는 곳에는 좌청룡, 우백호라는 호위의 뜻을 가진 독특한 칭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공당(公堂)에도 같은 장식으로 꾸며져 있고, 좌우당 기둥에 청룡백호를 그려서 사령을 진압하고 있다. 용호는 도교 이후 도가련단(道家鍊丹)에 차용된 용어로 '납수은·감리·수화(水火)·음양(陰陽)'과 같은 뜻이다. 또다른 설에서 성은 목(木)에 속하고, 목(木)은 동방을 뜻하며, 우괘는 진(震)을 뜻하므로 청룡(靑龍)에 비유하고, 정(情)은 금(金)을 뜻하며, 김(金)은 서방, 우괘는 태(泰)를 뜻하므로 백호(白虎)에 비유한다. 금은 나무를 이길 수 있기 때문에 정이 많고 손상된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이팔(二八)의 정기를 이용하여 하나로 교합하면 금목무간이 되고 용호는 자복하여 단을 이루게 되며, 인체에서는 간을 용, 신장을 호랑이, 외단은 음양의 뜻을 취하고 용을 납, 호랑이를 수은으로 삼게 된다.
중국 전통문화에서 도가 서양의 칠숙성군 사상(四像) 중 하나로, 오행학설에 따르면 서양을 대표하는 영수(靈獸)는 흰 호랑이로, 대표하는 계절은 가을이다. 28성숙 중 서양의 칠숙(七宿)인 규(奎), 루(婁), 위(胃), 묘(昴), 필(畢), 자(觜), 참(參)으로 이루어져 있고 호랑이 형상으로 서양에 있으며 오행중 금에 속하고, 색은 백(色白)이여서, 백호(白虎)라고 부른다.
중국의 4성수 중에서 청룡과 자주 비교가 되는것이 바로 백호다. 청룡과 마찬가지로 백호도 비호(非虎)다.
상징 백호는 군대를 상징하기 때문에 고대에는 백호라는 이름이 붙은 곳은 군사랑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예를 들면 고대 군대의 백호기(白虎旗)와 병부(兵符)의 백호상(白虎像)이다. 백호는 한나라 때 화상인 돌무덤의 묘문에 나타나거나 청룡과 각각 별도의 화상으로 묘실 양쪽에 새겨져 사악한 것을 물리치는 용도로 사용됐다. 풍속통의(風俗通義)는 "호자, 양물, 백수의 장(長)으로서 귀미를 잡아먹는다"고 했다. 한대(漢代) 오행에서 백호는 서양의 신수로 여겨졌다. |
이전글 | 사대신수(四大神獸)_청룡 |
---|---|
다음글 | 사대신수(四大神獸)_주작 |